청년층의 경제적 자립을 돕기 위해 정부는 청년도약계좌라는 특별한 저축 제도를 도입했습니다. 이 계좌에 가입하면 매월 일정 금액을 저축할 경우 정부의 기여금과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NH 농협은행의 청년도약계좌는 많은 청년들에게 유용한 금융 상품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NH 농협은행 청년도약계좌의 가입 방법과 조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NH 농협은행 청년도약계좌 가입 방법
NH스마트뱅킹 앱 설치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기 위해서는 먼저 NH스마트뱅킹 앱을 설치해야 합니다. 플레이스토어나 앱스토어에서 ‘NH스마트뱅킹’을 검색하여 다운로드한 후 실행합니다.
계좌 신청 과정
앱을 실행한 후, 화면에서 ‘금융상품몰’ 항목을 선택합니다. 농협은행의 금융상품 중에서 ‘NH청년도약계좌’를 찾아 클릭하면 가입 설명이 나타납니다. 이후 ‘가입하기’ 버튼을 눌러 가입 절차를 진행하면 됩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
나이 및 소득 기준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할 수 있는 나이는 만 19세에서 34세 이하입니다. 만약 군복무를 한 경우, 그 기간만큼 만 나이를 계산에서 제외할 수 있어 최대 만 37세까지 신청이 가능합니다. 또한, 개인 소득은 직전 과세기간의 총급여액이 7,500만원 이하, 종합소득금액이 6,300만원 이하이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가구 소득은 중위소득 180% 이하인 경우에 해당해야 합니다.
중위소득 기준
2021년 기준으로 중위소득 180%의 소득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가구원 수 | 중위소득 180% 기준 |
---|---|
1인 | 3,027,000원 |
2인 | 4,728,000원 |
3인 | 6,114,000원 |
4인 | 7,500,000원 |
NH 청년도약계좌의 혜택
정부 기여금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면 정부에서 제공하는 기여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기여금은 총 급여 및 종합소득에 따라 다르며, 정부의 지원으로 청년층의 재정적 부담을 덜어줍니다.
이자 혜택
NH 청년도약계좌는 기본 금리와 우대 금리를 제공합니다. 2023년 6월 기준으로 기본 금리는 4.5%, 우대 금리는 최대 1.5%입니다. 이를 통해 가입자는 최대 6%의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가입 신청 가능일
청년도약계좌는 특정 기간에 맞춰 신청이 가능합니다. 첫 주에는 출생연도 끝자리에 따라 신청할 수 있으며, 이후에는 모든 출생년도에 대해 가입 신청이 가능합니다.
- 6월 15일: 출생연도 끝자리 3/8
- 6월 16일: 출생연도 끝자리 4/9
- 6월 19일: 출생연도 끝자리 5/0
- 6월 20일: 출생연도 끝자리 1/6
- 6월 21일: 출생연도 끝자리 2/7
- 6월 22일~6월 23일: 모든 출생년도
자주 묻는 질문
청년도약계좌는 누구에게 적합한가요?
청년층으로, 일정 소득 기준을 충족하는 분들에게 적합합니다.
가입 후 이자는 어떻게 지급되나요?
가입 후 매월 저축한 금액에 대해 정해진 이자가 지급됩니다.
정부 기여금은 어떻게 계산되나요?
정부 기여금은 가입자의 총 급여 및 소득에 따라 달라지며, 자세한 사항은 농협은행에 문의해야 합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언제까지 가입할 수 있나요?
정해진 신청 기간 내에 가입 가능하며, 이후에는 추가 공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 계좌의 해지 방법은 무엇인가요?
해지 방법은 NH스마트뱅킹 앱을 통해 간단히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이전 글: 환경보전협회 법정교육홈페이지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