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24일, 비플페이(Bipple Pay)의 간편결제 서비스에서 해킹 정황이 발생했습니다. 이 사건의 주된 피해는 선불 충전 상품권의 PIN 번호가 유출된 것으로, 이로 인해 상품권이 무단으로 사용된 사례가 보고되었습니다.
해킹 사건 개요
유출된 정보
이번 해킹 사고에서 외부 침입자는 브랜드형 선불 상품권의 PIN 번호에 접근했습니다. 이는 특정 브랜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상품권의 고유 번호로, 유출된 PIN을 이용해 실제로 상품권이 사용된 사례가 확인되었습니다. 비플페이는 PIN 번호 외에도 이름, 생년월일, 휴대폰 번호 등의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을 조사하고 있으나, 현재로서는 공식적으로 개인정보가 유출되었다는 증거는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피해 규모
초기 보도에 따르면 피해 고객 수는 약 3,000명, 피해 금액은 약 1억 2,000만 원으로 보도되었으나, 후속 보도에서는 피해 금액이 약 9,700만 원으로 정정되었고 피해자 수는 3,200명 전후로 추정됩니다.
비플페이의 대응
사고 신고 및 보상
비플페이 운영사는 사건 발생 직후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금융감독원,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등에 사고 사실을 신고했습니다. 비플페이는 피해 고객 전원에게 보상을 완료했으며, 고객들에게는 제3자의 비정상적인 정보 접근이 확인되었다는 문자를 발송하였습니다.
보상 신청 방법
비플페이 측은 피해 고객에게 개별 문자 또는 앱 알림을 통해 피해 사실을 통보했습니다. 사용된 상품권에 대해서는 고객 계정으로 동일 금액을 보상하거나, 해당 브랜드의 상품권으로 재지급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습니다.
- 비플페이 앱에 로그인
- “내 상품권” 탭에서 최근 사용 내역 확인
- 사용하지 않은 내역이 있다면 의심 정황으로 고객센터에 연락
- 필요한 정보: 피해 상품권 종류 및 PIN 번호, 사용 내역 스크린샷, 사용자 본인 정보
고객 스스로의 대응 방안
비밀번호 변경
비플페이의 비밀번호를 즉시 변경하고, 영문, 숫자, 특수문자를 혼합한 새로운 조합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인증 기록 확인
통신사 패스(PASS) 앱, 카카오페이 인증, 네이버 인증서 등에서 최근 인증 요청 내역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개인정보 유출 확인
개인정보보호포털에 접속하여 “개인정보 유출 확인” 메뉴에서 본인 정보를 조회하고 이상 거래 및 정보 유출 내역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경찰 신고
사이버범죄 신고시스템을 통해 해킹이나 개인정보 유출 의심이 있을 경우 신고할 수 있으며, 피해 사실을 입증하기 위한 자료를 보관해야 합니다.
금융사 연동 점검
비플페이와 연동된 은행, 카드, 간편결제 계정에서 이상 거래가 없는지 점검하고, 필요 시 계좌 자동이체 및 간편결제 연결을 해제해야 합니다.
향후 관전 포인트
비플페이의 상세 조사 결과 발표 여부와 개인정보 유출 여부에 대한 공식 확인이 주요 관심사입니다. 또한 유사 플랫폼의 보안 시스템 점검 강화 흐름과 관련 법·제도의 개정 또는 규제 도입 여부도 주목해야 할 부분입니다.
정리
비플페이 해킹 사건은 국내 결제 및 상품권 플랫폼에서 드물게 발생한 금전 피해 사례로, 회사의 신속한 대응과 보상이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고객들이 신뢰를 회복하는 데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향후 조사 결과와 함께 개인의 보안 습관 강화가 필요하며, 모든 디지털 금융 서비스에서 보안은 신뢰와 생존의 핵심 요소임을 다시 한 번 상기해야 할 시점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비플페이 해킹 사건으로 어떤 정보가 유출되었나요?
브랜드형 선불 상품권의 PIN 번호와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이 있는 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보입니다.
피해 보상은 어떻게 받을 수 있나요?
비플페이 앱을 통해 최근 사용 내역을 확인하고, 의심스러운 내역이 있다면 고객센터에 연락하여 보상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향후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요?
비밀번호 변경, 인증 기록 확인, 개인정보 유출 확인, 경찰 신고 및 금융사 연동 점검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