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를 읽어보시면 X 앱에서 민감한 미디어를 표시하도록 설정하는 방법과 버전 차이에 따른 주의점, 적용 확인 팁까지 한눈에 이해할 수 있습니다.
설정 위치와 진입 방법
- 프로필 아이콘을 눌러 왼쪽에 열리는 사이드 메뉴를 엽니다.
-
메뉴에서 설정 및 보안(또는 설정 및 개인정보)으로 이동해 화면을 확인합니다.
-
설정 화면에서 표시되는 항목 중에 민감한 미디어 관련 항목을 찾아 클릭합니다.
- 이후 노출되는 옵션 중 원하는 카테고리 조합으로 접근합니다.
표시되는 미디어 관리 포인트
- 민감한 미디어 구분 화면에서 세 가지 카테고리를 확인합니다: 폭력적 미디어, 성인용 미디어, 기타 항목.
- 각 카테고리에 대한 기본 경고 설정이 표시되며, 원하시는 방식으로 변경합니다.
-
버전에 따라 메뉴 위치가 다를 수 있으니 화면상에 보이는 레이블을 우선 따라가세요.
-
가운데 옵션인 “모두 표시”를 선택하면 경고 없이 바로 미디어가 보이도록 설정됩니다.
- 변경은 뒤로 가기 버튼으로 나오게 하여도 적용됩니다. 즉, 추가 확인 버튼 없이도 설정이 반영됩니다.
적용 방법과 주의점
- 경고 표시/모두 표시/표시하지 않음 중에서 원하는 방식을 선택합니다. 이번 주제에 맞춰 “모두 표시”를 채택하면 바로 적용됩니다.
- 설정 변경 후에는 앱을 재시작하지 않아도 화면으로 바뀐 설정이 즉시 반영될 수 있습니다.
-
일부 기기나 버전은 설정 경로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비슷한 문구의 메뉴를 차례로 눌러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세요.
-
설정이 적용되면 트윗 피드의 해당 미디어가 더 이상 경고 화면 없이 보일 가능성이 큽니다.
- 특정 콘텐츠 유형을 다시 숨기고 싶다면 같은 흐름으로 원래 옵션으로 되돌리면 됩니다.
버전별 차이와 주의사항
- OS 버전이나 X 앱의 버전에 따라 표시되는 이름이나 위치가 다를 수 있습니다.
- 업데이트가 큰 버전에서 UI가 바뀌면 다시 한 번 같은 경로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
버전이 다르면 “민감한 미디어”와 같은 용어가 다르게 보일 수 있으니 화면의 맥락을 먼저 파악하세요.
-
버전 간 차이는 주로 메뉴 위치와 아이콘 모양으로 나타납니다. 처음 보았던 경로와 다르게 보일 때는 상위 메뉴에서 비슷한 이름의 항목을 순서대로 눌러 탐색합니다.
- 중요한 것은 변경 직후 바로 적용 여부를 확인하는 것. 미디어가 즉시 경고 없이 표시되는지 테스트해 보세요.
확인 팁 및 실전 활용
- 변경 직후 본인의 피드에서 미리보기처럼 몇 개의 게시물을 확인해 경고 화면이 사라졌는지 점검합니다.
-
가족 또는 친구의 기기에서도 같은 설정이 유지되는지 확인하려면, 동일 계정으로 로그인한 상황에서 동일한 흐름으로 재확인합니다.
-
불필요한 경고를 다시 확인하고 싶을 때는 같은 경로로 되돌려 설정을 조정합니다.
- 데이터 사용량이 많아질 수 있는 점도 염두에 두고 필요 시 네트워크 상황에 맞춰 설정을 조정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적용된 설정은 다른 기기에서도 동일하게 작동하나요?
대개 동일 계정이라면 적용이 유지되나, 기기별 앱 버전 차이에 따라 재확인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앱 업데이트 후 설정이 재설정되나요?
일부 업데이트에서 위치가 바뀌거나 초기화될 수 있어 재확인이 필요합니다.
미디어 표시를 다시 숨기려면 어떻게 하나요?
같은 경로의 민감한 미디어 항목으로 돌아가서 원래 옵션으로 변경하면 됩니다.